리스트
a = [0,1,2,3,4,5,6,7,8,9,10]
print(a) # 리스트 a를 출력
print(a[::]) # 리스트 a 전부를 출력
print(a[3:]) # 리스트 a의 3번 인덱스 부터 출력
print(a[5:10]) # 5번 인덱스 부터 9번 인덱스 까지 출력
print(a[1:9:2]) # 1번 인덱스 부터 8번 인덱스까지 2의 간격으로 출력
[0,1,2,3,4,5,6,7,8,9,10]
[0,1,2,3,4,5,6,7,8,9,10]
[3,4,5,6,7,8,9,10]
[5,6,7,8,9,10]
[1,3,5,7]
다양한 방법으로 리스트 사용이 가능하다.
문자열
리스트 슬라이싱의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문자열 슬라이싱이 가능하다.
a = "ABCDEFGHIJKLMN"
print(a[0]) # 문자열 a의 1번째 문자 출력
print(a[1:5]) # 1번 문자열 부터 4번 문자열 까지 출력
print(a[1:7:2]) # 1번 문자열 부터 6번 문자열 까지 2씩 띄며 출력
print(a[-1:-4:-1]) # 맨 뒤 순서로 1번째 부터 3번째 문자까지 거꾸로 출력
print(a[-1:-len(a)-1:-1]) # 문자열 전체를 뒤집을 수도 있다.
# a[-1:-len(a)-1:-1] -len(a)-1을 해주는 것을 꼭 기억하자
A
BCDE
BDF
NML
NMLKJIHGFEDCBA